- Lifecycle이라는 개념
컴포넌트는 1.생성 2.삭제 3.관련 state의 변경으로인한 재렌더링(업데이트)가 가능함
이와 관련해 Hook을 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의 생성,사라짐,업데이트에 따라 여러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것
이러한것을 Lifecycle Hook이라고한다.
class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기능을 신 문법에서는 useEffect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와같이 useEffect를 불러오면 위에서 알아서 import를해온다.
안에는 콜백함수를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
let [alert,alert변경] = useState('my-alert3')
// 나는 display none으로 되게하긴했음
let [alert2,alert2변경] = useState(true)
let [inputData,inputData변경] = useState('')
// 컴포넌트가 mount,update될때 특정코드를 실행
useEffect(()=>{
// 2초후에 alert창 안보이게하기, 변수에 저장해서 보통사용한다, 나중에 지우기위해
let timer = setTimeout(()=>{
console.log('hi')
alert변경('my-alert')
},2000)
// console.log("hi")
return ()=>{ clearTimeout(timer)}
},[alert])//[]조건을 넣을 수있다. 이러면 그안에있는 state가 변경될때만 실행된다. 아니면 콘솔에 계속 찍힘
// 빈칸이면 페이지 로드시 한번만 실행하고 끝난다.
useEffect(()=>{
let timer2 = setTimeout(()=>{
alert2변경(false)
},2000)
return ()=>{ clearTimeout(timer2)}
},[alert2])
// 등장 / 업데이트시에 실행된다.
// useEffect훅2
// 컴포넌트가 사라질 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 useEffect(()=>{
// return function 어쩌구(){실행할코드}
// return ()=>{실행할코드}
// })
// 무조건 함수를 리턴해야하는데 둘다됨
// useEffect훅3 여러개를 사용하고싶다면 그냥 여러개 하면됨, 적은 순서대로 실행됨!
그리고 위에 알림창이 알아지는건 2가지 방법을 사용해 봤다.
하나는 alert를 변수이름으로줘서 css에서 display를 none으로바꾸는 방법이고
다른하나는 가장 정답에 가까운 useState를 사용해 true/flase값을줘 if문법으로 작성하는것이다.
if가 jsx에서는 사용이 안되니 3항 연산자를 사용한다.
<div className={alert}>
<p>재고가 얼마 남지 않았어요</p>
</div>
{
alert2 === true
?(<div className={alert}>
<p>재고가 얼마 남지 않았어요2</p>
</div>)
:null
}
{/* UI는 거의 이런식으로 스위치로만든다. 좋은 관습 */}
참고.
컴포넌트가 사라질때 코드를 실행하고싶으면 useEffect안에 return값에다가 코드를 실행하면 된다.
// useEffect훅2
// 컴포넌트가 사라질 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useEffect(()=>{
return function 어쩌구(){실행할코드}
return ()=>{실행할코드}
})
// 무조건 함수를 리턴해야하는데 둘다됨
그리고 여러개를 하고싶으면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기때문에 그냥 여러개를 사용하면 된다.
useEffect(()=>{
let timer = setTimeout(()=>{
console.log('hi')
alert변경('my-alert')
},2000)
// console.log("hi")
return ()=>{ clearTimeout(timer)}
},[alert])
그리고 이와같이 아래 [alert]라는 state를 넣어주지않으면
맨처음 렌더링하는 한번만 작동을한다. 근데 주지않으면 페이지 렌더링 업데이트할때마다 실행되기때문에
자원낭비가 발생함, 따라서 [alert]라고 맨뒤에 넣어주면 해당 state가 변경될때만 업데이트가된다.
Tip.
setTimeout함수
아래와같이 만들어준다 뒤에 1000은 1초임
1초후에 실행된다.
setTimeout( ()=>{ 실행할코드 }, 1000);
useEffect(()=>{
let 타이머 = setTimeout(()=>{ alert변경(false) }, 2000);
return ()=>{ clearTimeout(타이머) }
}, []);
이와같이 변수로 선언해준다음에 clearTimeout으로 해제해준다. 이렇게 사용하는것이 추가 오류를 막을 수 있는
좋은방법이다.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Component중첩, props, state (0) | 2022.01.15 |
---|---|
React Ajax (0) | 2022.01.15 |
React Style(CSS,SASS) (0) | 2022.01.14 |
React Router (0) | 2022.01.13 |
React 컴포넌트화(Component) 해서 반복문이용, 이미지도 순서반복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