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아라김지원
article thumbnail
5.최종 완성 및 발표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3. 3. 17. 13:39

좀더 세밀한 이슈나 여러 문제를 해결한 과정은 좀더 복잡했지만 약 4~5개월에 거친 서버이전은 끝이 보이기 시작했다. 현재는 약 2-3달 중단된 상태고 클라우드 이전관련해서 인가가 필요한건지 실제 서버로 옮기게 된다면 설치하는 방법 매뉴얼작성등은 진작에 완료가 되었다. 그리고 11월에 본사 여러 높으신분들? 있는 앞에서 화상회의로 발표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 마침 잘 정리 해놓은게 있어서 전체 요약으로 마무리를 지으려고 한다. - 통합 점포 관리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현재 소속한 부서에서 관리하는 업체의 통합 점포 관리시스템이 노화화되어 시작하게된 마이그레이션 작업 - 통합점포 관리 시스템 운영 현황 1)2008년 구축 2)판매 현황, 상품 재고 등의 실시간 정보 수집 3)상품 재고 관리 자동화 4)기간계..

article thumbnail
엣지 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드 자동설정 파일만들기 (bat, reg사용)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3. 2. 22. 14:10

-한줄요약- -> 익스플로러 에서만 작동하는 사이트들을 엣지 익스플로러 모드를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자동화된 설정파일 만들기 1.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사내 사이트가 있음 (인사시스템, 그외 노후화된 옛날 사이트) 하지만 굳이 새로 만들어야할 필요는 없고 사내에서만 사용하는 인트라넷임 2.개개인이 엣지 브라우저를 실행시켜서 여러 설정을 해주면 될 일 이지만 100명이 넘는곳에서 이런것을 하기 어려워 하는사람들이 대부분, 그리고 개별적으로 해주자니 그것도 일임 3.그래서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방법을 강구 만들어진 목록은 아래와 같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은 -실행하세요1 레지스트리 우클릭후 병합 -실행하세요2 배치파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이렇게 두 단계만 진행후 엣지를 사용하기만 하면..

article thumbnail
C# 텍스트파일, ini 파일등 불러와서 변수로 사용하기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11. 14. 16:26

위 그림의 설명 윈도우에서 만들어진 dll은 com+라는곳에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FCMN200은 FCMN200.asp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의 한 부분, 페이지이고 그안에서 FORD100.dll이라는 DLL을 구성 요소 서비스로 불러온다. 현재 해야하는것 VBS로 만들어진 32bit DLL 하나를 C# 기반의 .net 으로만든 64bit DLL로 바꿔야한다. 현재는 FORD100이라는 dll의 FORD100X1하나만 다른것으로 갈아끼우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 작업중 DLL로만들어지면 바뀌는 외부프로그램의 ID, PASSWORD, 혹은 아이피 정보들을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부파일(txt혹은 ini)로 저장된 파일을 가져와 변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려고한다. using Syst..

article thumbnail
4.Windows server 버전별 운영체제, IIS 버전별 정보 (EOS)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10. 7. 16:17

Windows server 2003은 XP와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즉 2003에서 되는건 xp에서도 되고 xp에서 안되는거는 2003에서도 안된다는점 요즘 OS에 비교하면 윈도우10과 윈도우 서버 2016 이 비슷한 개념이다 윈도우 10의 서버 버전이 윈도우 서버 2016이라고 보면된다. - EOS (End of Service) Windows server 2003 의 지원종료 시점은 2015년 7월이었다. 현시점을 기준으로 이미 7년이나 지나버렸다. https://takehold.tistory.com/106 Windows Server OS별 EOS(End of Service)시점 정리 출시된 제품 수명 주기 시작 날짜 일반 지원 종료 날짜 연장 지원 종료 날짜 Windows Server 2008 Ser..

article thumbnail
3.테스트시작 (클라이언트 파일)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10. 4. 17:37

원래 이와같이 운영되고 있는 서버를 이렇게도 운영되게 테스트를 시도해 보았다. 어차피 웹 클라이언트서버는 1개건 2개건 더 많건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저렇게 먼저 WEB Client먼저 테스트를 해본뒤 정상 작동하는지 보는것이 순서에 맞다고 대장님이 말씀하셨고 나 역시 프론트엔드 개발을 주로 해온 입장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했다. 50메가 남짓하는 위의 PNET파일이 바로 10년이 넘게 이곳을 지탱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웹 파일이다. 그중 설정을 하면서 가장중요했던 폴더가 2가지가 있다. 1.ASP파일을 모아놓은곳 2.DLL파일을 모아놓은곳 이 2가지 폴더가 주요한 파일, 그리고 사실상 이 두 폴더만 건드려서 진행했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위주로 기록하겠다. 첫테스트는 Windows 10 운영체제의 IIS10..

article thumbnail
2.PNET 운영환경 (Web,DB)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10. 4. 17:13

P-NET의 환경은 이와같다. 네모박스 두개가 운영되고 있는 2대의 실제 존재하는 서버이고 WEB서버에 접속해서 유저들이 이용하는 형태이다. 웹서버를 좀더 자세히 보면 위와같이 구성 되어있다. 지금은 한눈에 이해가 가지만 초기에는 이것을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다. 애초에 윈도우 서버도 처음이었고 IIS가 무엇인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파악은 완료 되었고 가장 우선순위는 PNET의 웹서버 부터 이전하는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PNET의 웹만 우선 로그인, DB목록 끌어오기등 웹앱만 제대로 작동시키는게 목표였다. 왜냐면 단순 등록만해서는 이와같이 첫페이지는 들어가지지만 첫화면 로그인부터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첫번째 목표는 로그인부터 성공하기 였다. 심지어 대장님께서 한번 성공하신 이력..

article thumbnail
1.통합점포관리 시스템 이전하기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10. 4. 16:03

https://www.etnews.com/200801280157 롯데정보통신, 통합정포관리 시스템 구축 www.etnews.com 현재 L사 계열사 H필름의 IS팀으로 일하고 있다. 이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합 점포 관리 시스템 P넷이 있고 전국에 있는 점포들과 이곳 사내에서도 사용하고있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2007년도에 개발이 되었고 위와 같이 2008년도에 기사까지 존재한다. 지금까지도 ASP로만들어지고, Windows server 2003 IIS6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간혹 서버가 다운된다거나 정상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 한다고 했다. 그래서 입사한지 약 한달이 지나고 대장님과 함께 이 프로그램을 서버이전 시키기 위한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작업을 처음 진행해야 된다는..

article thumbnail
Windows10 가상화 설정 체크(intel)
서버이전 프로젝트 2022. 8. 11. 17:43

VMware를 사용해서 가상환경에 윈도우서버, 윈도우를 설치해서 사용해보려고하는데 아무리 체크해도 가상화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았다. CPU를 체크해보니 i5-8500 가상화 지원하는 CPU입니다. 가상화 환경을 체크하는 프로그램 1.leomoon, securable사용 2.Intel® Processor Identification Utility 사용 - 그럼 결국 문제는..? 최근에 hyper-v로 이거저거 만지고 해봤는데 그게 문제였다. hyper-v를 제거해주니 제대로 뜨기 시작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로 가서 Hyper-V설정 체크 해제해주고 재부팅 하니 정상 작동! 1.leomoon, securable 2.Intel® Processor Identification Utility 사용 3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