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개발지식17

TCP와 UDP의 차이 TCP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하고 연결지향 프로토콜(3웨이 핸드쉐이크)을 사용해서 연결을 하여 신뢰성을 구축해서 수신여부를 확인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방식'을 사용한다. 가상회선 패킷 교환방식 각 패킷에는 가상회선 식별자가 포함되며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방식이다. UDP 순서를 보장하지않고,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며 단순히 데이터만 주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을 사용한다.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패킷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가는데, 하나의 메시지에서 분할된 여러 패킷은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도착한 순서가 다를 수 있는 방식이다. 2022. 6. 23.
TCP/IP 4계층 모델과 OSI 7계층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 TCP/IP 4계층모델 혹은 OSI 7계층 모델로 설명한다. TCP/IP계층 네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고 애플리케이션계층, 전송계층, 인터넷계층, 링크계층으로 표현한다. OSI 7계층 7계층으로 표현하고 : 애플리케이션,프레젠테이션, 세션, 전송, 네트워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물리계층으로 구분한다. 이 계층들은 특정 계층이 변경될때, 다른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 되어있다. 전송계층에서 TCP를 UDP로 변경했다고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것이 아니듯 유연하게 설계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FTP, HTTP, SSH, SMTP, DNS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다.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2022. 6. 23.
MVC MVP MVVM 패턴 - MVC MVP MVVM 패턴 1. MVC패턴 Model, View, Controller로 이루어진 디자인 패턴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를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하여 개발 프로세스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에만 집중해서 개발할 수 있다. 재사용성과 확작성이 용이하다. 단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해 질수록 모델과 뷰의 관계가 복잡해진다. 모델박스 안에 글자가 들어 있다면, 그 사각형모양의 박스 위치 정보, 글자 내용, 글자 위치, 글자컨트롤러를 통해 모델을 생성하거나 갱신한다. 포맷(utf-8등)에 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뷰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면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인 데이터베이스, 상수, 변수등을 뜻한다. 사각형 모양의 뷰즉,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을 뜻한다. .. 2022. 6. 20.
디자인패턴(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싱글톤패턴) 디자인 패턴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의 상호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규약' 형태로 만들어 놓은것을 의미한다. ex)모듈화를 진행 라이브러리와 프레임 워크의 차이 라이브러리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을 모듈화한 것을 의미, 폴더명, 파일명에 대한 규칙이 없다. 프레임워크에 비해 자유롭다. 내가 직접 컨트롤하는 도구와 비슷하다. 프레임워크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을 모듈화한것을 의미, 폴더명, 파일명에 대한 규칙이 있다. 라이브러리에 비해 엄격하다.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진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모듈에 많이 사용한다. 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해당 인스턴스를 다른.. 2022. 6. 15.
웹스토리지, 쿠키에 대해서 웹스토리지 & 쿠키 1.쿠키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크기의 문자열( 최대 4KB ) 주로 서버에서 사용한다. http요청시 Headers에 전송한다. 만료 기간 지정이 가능하다 영구 쿠키(만료기간지정, 기간지나면 삭제) VS 세션 쿠키(만료기간 지정X,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 https://naver.com 이라고 칠 때 퍼스트파티 쿠키 - 같은도메인, 혹은 서브도메인 ex) naver.com(같은도메인), m.naver.com(서브도메인) 서드파티 쿠키 - kakao.com 다른 도메인 (주로 광고 목적으로 활용, 사용자의 방문 사이트 파악) 쿠키의 문제점 CSRF - 사용자의 권한을 이용한 공격 (비밀번호 변경, 결제 요청등) XSS -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 탈취(토큰) 부족한 저장 용량 - 4kb.. 2022.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