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tyle3

Mui 스타일 설정 Mui 컴포넌트 style설정하는법, 텍스트 Area 사이즈를 조정하고 싶다거나, Margin을주고싶다거나 할때 style={{ width: 200 }} 속성을 사용해주면 된다. {setSearch(event.target.value)}} onKeyPress={(e) => { if (e.key === "Enter") { router.push( { pathname: "/SearchTextResult", query: { textResult: search, }, }, `/SearchTextResult` ); } }} /> 이와같이 텍스트필드 사이즈를 조절할때 위와같이 style={{width:150}}으로 사용해 주었고 { router.push( { pathname: "/SearchTextResult", que.. 2022. 3. 31.
Next.js(React)에서 한줄, 속성에 직접 style주는법 function R1(props){ // return( // hihi {props.ramen1} // ) if(props.ramen1===0){ return }else if(props.ramen1===1){ return }else if(props.ramen1===2){ return } } Next.js 에서는 style jsx로 CSS속성을 주는데 이와같이 급하게 ? 혹은 간단하게 속성 에다가 직접적으로 css속성을 주는방법 이와같이 주면된다. style = {{}} 를 꼭주의하고 안에는 오브젝트 형태로 display:"inline"형태로 주면된다. 2022. 3. 22.
React Style(CSS,SASS) 기본적으로, 리액트에서도 클래스네임을 사용해서 원래 사용하던방식으로 CSS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리액트만의 편리함이나 방식도 기록하자 먼저 설치부터 리액트의 styled-conponents를 이용하기위해 yarn add styled-components npm install styled-components 둘중하나로 설치를하고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이와같이 상단에 불러온다. 사용하고싶은 컴포넌트 상단에 불러오면 된다. let 박스 = styled.div` padding:20px; ` let 제목 = styled.h4` font-size:25px; color:${props=>props.색상} ` 사용법은 이와같이 `` 를 사용하면되고 저 박스와 제목이.. 2022. 1. 14.
반응형